매년 신제품이 넘치는 스마트폰 시장, 출시되는 제품들의 격차가 미미하여 어떤 제품이 자신의 니즈에 가장 부합하는지 알기 힘들다. 해당 survey에서는 최신 스마트폰들의 스펙과 성능을 비교하여 어떤 제품이 독자에게 가장 알맞은 제품인지 찾아가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서론
현재 가장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이 무엇이냐 하면 모두가 IT라고 입을 모을 것이다. iPhone 15, 15 Pro, 15 Pro Max, 갤럭시 S 시리즈, A 시리즈, 구글 픽셀 등등 매년 셀 수 없이 출시되고 홍보하는 최신 IT 제품들, 특히 스마트폰의 성능을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잘 구분하지 못한다. 그로 인해 제품의 디자인만이 소비자의 가장 큰 판단 요소가 되고, 새로 구매한 제품의 디자인이 익숙해질 무렵, 이전 스마트폰과 새로 구매한 스마트폰이 사실 별 다를 바 없다는 것에 실망하곤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해당 문서에서는 스마트폰, 그중에서도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iPhone과 갤럭시 S 시리즈를 비교하여 각 기기들이 성능 면에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소비자의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2023년 10월 기준 가장 최신의 iPhone 15와 15 Plus, 15 Pro, 15 Pro Max, 그리고 갤럭시 S23, S23+, S23 Ultra 총 7가지의 모델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본론
스마트폰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는 굉장히 많다.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운영체제 등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 다양한 만큼,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종류도 많다. 그중에서는 통신 모뎀이나 운영체제처럼 성능을 비교하기 힘든 요소도 많으므로, 먼저 가장 성능과 가장 크게 직결되고, 소비자들이 관심을 많이 갖는 부분들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비교하고자 한다.
프로세서는 스마트폰의 일 처리 능력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핵심으로,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게 한다. SDRAM은 용량이 클수록 프로세서가 데이터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게 해주어 프로세서의 효율적인 동작에 도움을 준다.
디스플레이는 2가지의 요소를 비교하였는데, 첫째로 ppi는 Pixels per Inch의 줄임말로, 1인치에 픽셀 몇 개가 포함되는지를 나타낸다. ppi가 높을수록 계단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보게 된다. Hz는 주사율(FPS)의 단위로, 초당 몇 프레임이 화면에 보이는지를 나타낸다. 최신 스마트폰들은 주사율을 조정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최대 주사율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카메라의 화소는 촬영당 몇 픽셀을 담는지 나타내는 단위로, 최신 스마트폰에는 카메라가 보통 전면에 1개, 후면에 2~3개 이상으로 여러 개이고, 카메라마다 화소가 달라 최대 화소의 카메라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배터리는 mAh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이는 시간당 1밀리암페어의 전류가 흘렀을 때의 전기량으로, 값이 높을수록 배터리를 오래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 만족도에 중요한 요소이다.
다음 표는 삼성 공식 홈페이지 와 애플 공식 홈페이지 의 제품 스펙을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위 표를 보면 전반적인 스펙은 갤럭시 S 시리즈가 iPhone 15 시리즈에 비해 우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Phone 시리즈는 6 ~ 8GB, 갤럭시 S 시리즈는 8 ~12GB의 SDRAM을 탑재하였고, 디스플레이의 ppi와 FPS 또한 갤럭시 S 시리즈에서 높다. 카메라는 iPhone 15 시리즈 모두 최대 4800만 화소로 동일한 반면 , 갤럭시 S 시리즈는 S23과 S23+는 최대 5000만 화소로 동일한 카메라를 탑재하였지만, S23 Ultra는 최대 2억 화소로 여타 제품들과 4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의 용량은 스마트폰의 크기에 비례하는 경향이 있어, iPhone Plus와 Pro Max에서 다른 iPhone 제품들 대비 큰 용량을 가지고 있고, 갤럭시 S23, S23+, S23 Ultra로 갈수록 배터리 용량이 크다.
위 내용에서 프로세서는 iPhone과 갤럭시 S시리즈의 제조회사가 다를 뿐더러 이름과 코어의 개수 등으로 CPU의 성능을 명확히 비교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는 벤치마크 점수로 비교하고자 한다. 벤치마크란 연산 성능을 수치화 하기 위해 각 환경에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해당 기기의 성능을 표준화하여 점수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벤치마크용 프로그램은 Geekbench 6 을 사용하였다.
놀랍게도 벤치마크 성능면에서는 iPhone 15 시리즈가 갤럭시 S23 시리즈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인다. 실성능에 더 가까운 Multi-Core로 비교해 보면, 각 시리즈에서 최저점을 기록한 갤럭시 S23과 iPhone 15는 1.28배의 성능 차이를 기록하였고, 최고점을 기록한 갤럭시 S23 Ultra와 iPhone 15 Pro는 1.43배의 성능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비록 갤럭시 S23 시리즈의 SDRAM이 전반적으로 큰 용량을 지니고 있지만, iPhone 15 시리즈는 최대 3.46GHz, 혹은 3.78GHz의 코어를 6개 탑재한 것에 반해, 갤럭시 S23 시리즈는 전 기종 최대 3.36GHz의 CPU를 쿼드코어로 탑재하였고, iPhone 15 시리즈는 Apple의 자체 제작 아키텍처를 사용한 것이 성능 최적화에 더욱 유리하게 작용하여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결론
하드웨어 스펙과 벤치마크 점수, 크게 2가지의 지표를 이용해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업들의 최신 시리즈, iPhone 15와 갤럭시 S23 시리즈를 비교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CPU를 제외한 하드웨어 적인 측면에서는 갤럭시 S23 시리즈가 iPhone 15 시리즈를 전반적으로 앞섰지만, CPU의 벤치마크 결과를 확인해 본 결과, CPU의 성능은 iPhone 15 시리즈가 앞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새로 구매할 스마트폰을 선택할 때에는 자신이 해당 제품을 어떠한 방면으로 활용할 것인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예를 들어, 초고사양 게임을 많이 플레이하는 게이머라면 CPU 성능이 가장 뛰어난 iPhone 15 Pro를 선택할 수도 있고, 작고 가벼운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사용자는 가장 가벼운 갤럭시 S23을, 화면이 큰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사용자는 갤럭시 S23 Ultra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글에서 서술한 기준들 외에도 본인에게 맞는 스마트폰의 크기, 색과 디자인 등의 주관적인 요소들도 많으므로, 먼저 본인에게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 해당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해 낼 수 있는 스마트폰을 찾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한 스마트폰을 찾는데에 해당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